위플러스 내과 클리닉

스크린샷_2024-07-11_오전_11.31_.36_.png
만성질환
만성질환이란 오랜 기간을 통해 발병해 계속 재발하는 질환을 뜻합니다. 
유전, 흡연,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같은 생활 속의 원인과 환경적인 원인, 
신체의 생리적 기전의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습니다. 
만성질환이 심해져 사망 원인까지 되는 경우도 있어 정기적인 
내과 진료가 꼭 필요합니다. 
대표 질환
당뇨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발병 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이 나타나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킵니다. 
완치가 아닌 관리 개념으로 접근해야 하며 대표적인 만성질환인 만큼 체계적이고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고혈압
혈압은 심장이 박동할 때 동맥혈관에 흐르는 혈액의 압력입니다. 
혈압이 높은 상태(140/90mmHg 이상)가 계속되는 증상을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 성인 5명 중 1명 이상이 고혈압을 앓고 있으며 합병증이 없는 한 
증상이 거의 없어 '침묵의 살인자' 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합니다. 
고지혈증
과도한 지방 성분이 혈액 속을 돌아다니면서 혈관 벽에 쌓이게 돼 
염증을 일으켜 나타나는 것이 바로 고지혈증입니다. 
총콜레스테롤이 240mg/㎗을 넘거나 중성지방이 200mg/㎗ 이상인 경우 고지혈증으로 정의합니다. 



스크린샷_2024-07-11_오후_12.04_.58_.png
소화기 질환
소화기 기관은 우리 신체에서 섭취한 음식물을 소화, 흡수, 저장, 배설
하는 기능을 하며, 식도, 위, 소장, 대장을 비롯하여 간, 담도 및 췌장 등 범위와 질환의 종류가 다양합니다. 
속쓰림, 상복부통증, 발열, 구토, 변비, 설사 등 소화기관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대표 질환
식도, 위 , 십이지장 질환 
식도염, 식도 궤양,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염, 십이지장 궤양 뿐 아니라 
식도암, 위암 등의 질환에 대해 진료 및 검사를 시행합니다. 
소화불량, 헛구역질, 상복부 통증, 복부팽만감,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있을 때 의심할 수 있습니다. 
과민성대장증후군
장관의 기질적 이상 없이 만성적인 복통 또는 복부 불편감, 배변 장애를 동반하는 기능성 장 질환입니다. 
소화기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의 약 28%가 진단될 만큼 흔하게 발생합니다. 
특정 음식 섭취나 스트레스에 의해 악화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췌장 및 담도 질환

담낭염, 담석증, 담도결석, 담도염 및 담낭암, 담도암 등의 담도계 질환과 췌장염과 췌장암 등의 질환에 대한 검사와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우상복부 통증, 체중감소, 황달, 상복부 통증 등이 췌담도계 질환의 증상인데, 췌장암과 담도계 암은 증상이 발생하면 이미 완치 시기가 지난 경우가 많으므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한 조기진단 만이 완치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만성염증성 장질환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 및 베체트병은 장에 생기는 심각한 
만성 염증으로서 증상, 병의 경과 및 치료 방법 등이 비슷하기 때문에
이들 질환을 총칭하여 염증성 장질환이라 부릅니다. 
염증성 장질환은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되는 장의 만성 염증성 질환입니다.




스크린샷_2024-07-11_오후_12.32_.32_.png
갑상선질환
갑상선은 호르몬을 분비해 우리 인체 내 모든 기관의 기능을 적절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열을 발생시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해주며 태아 및 신생아의 
뇌와 뼈의 성장 발육을 촉진시켜줍니다. 

갑상선 호르몬이 많이 나오면 신진대사가 빨라지고 적게 나오면 느려져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대표 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의 기능이 항진되면 우리 몸에 갑상선 호르몬이 많아져 신체대사가 
증가되며 에너지 소모가 많아집니다. 
체중이 감소하며 심장이 빨리 뛰고 몸이 더워지며 신경이 예민해져 잠을 
잘 못잘 수 있습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
매사에 무기력해지며 신체 활동력이 저하됩니다. 
입맛이 떨어지는데도 불구하고 체중은 증가하고 얼굴이 붓게 됩니다. 
여성의 경우 월경량이 많아질 수 있습니다.

갑상선결절

갑상선 결절은 갑상선의 세포가 이상 증식하여 혹처럼 자라난 경우로 미용상의 문제가 아니라면 수술적 치료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악성 결절인 경우에는 수술 및 경과 관찰이 필요합니다. 


​갑상선암
유두암, 여포암, 수질암, 미분화암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중 유두암이 
갑상선암중 가장 흔한 암입니다.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아 생존률이 높은 편이지만 주의가 필요합니다. 




스크린샷_2024-07-11_오후_12.34_.08_.png
호흡기질환
호흡과 관련이 있는 기관인 비강,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 폐, 횡경막 
등에 영향을 주는 질병을 말합니다. 
호흡기질환은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폐렴, 만성기관지염, 감기 등의 
감염성 질환 및 알레르기와 환경오염 등에 발생하는 천식과 비염이 
있으며 증상이 가벼운 질환부터 사망에 이르게하는 치명적인 질환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대표 질환
천식
폐 속으로 공기가 드나드는 통로인 기관지가 아주 예민해진 상태로 기관지가 좁아져 숨이 차고 가랑가랑하는 숨소리가 들리면서 기침을 심하게 하는 증상이 있어 정상적인 호흡을 하기 어렵게 되는 질병입니다.
알레르기 비염
다양한 원인물질에 의해 코점막에 과민반응을 나타내는 알레르기 질환으로 부비동염(축녹증), 코의 물혹, 중이염, 수면장애, 천식 등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관지확장증

다양한 원인에 의해 만성 기도염증이 생기고, 이로 인해 기관지가 영구적으로 확장되어 기관지 기능이 소실되는 질환입니다. 
반복적 기관지염증으로 인해 객담과 기침이 수개월에서 수년간 지속되며, 심한 경우에는 폐렴, 객혈, 호흡곤란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유해물질이나 유해가스에 장기간 노출되어 기도와 폐포가 손상되는 질환으로 호흡기 증상과 기도폐쇄가 특징인데, 비교적 예방 및 치료가 용이한 질환입니다. 
흡연이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대표적인 발병 원인으로, 그외 고령, 작업장의 
주위 환경에서 발생한 미세먼지, 유년시절의 호흡기 감염 등도 원인이 
됩니다. 

폐렴
세균과 바이러스에 의해서 폐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기침, 가래, 호흡곤롼, 근육통,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나이드신 분들은 심각한 호흡부전이 일어나서 사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old-patient-close-up_23-2148504532.jpg.webp
골다공증
골다공증은 정상적인 뼈에 비해 ’구멍이 많이 난 뼈’를 말하며 폐경, 
노화 등의 여러가지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고 경미한 충격에도 쉽게 
골절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골다공증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요통, 허리가 구부러지는 신체의 
변형, 신장의 감소, 쇠약, 무기력 등에 시달리게 됩니다. 
최근에는 골다공증을 편안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
되어 조기진단이 가능해졌고 이러한 결과에 따라 치료의 방향을 결정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원인
나이
연령의 증가
체형과 체중
뼈가 가늘고 체중이 적은 경우

성호르몬의 감소

조기폐경, 신경성 식욕부진, 심한 운동으로 월경이 없는 경우, 고환기능의 악화로 남성 호르몬이 감소된 경우

장기적으로 부신피질호르몬, 갑상선호르몬 등을 복용하는 경우

질병
갑상선기능항진증, 위장관의 수술을 받은 경우, 쿠싱증후군, 오랫동안 
운동이 억제된 경우

생활습관
칼슘 섭취량이 적은 경우,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 
지나친 음주와 흡연을 하는 경우

유전적인 요소
어머니에게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이 있었던 경우의 여성




6a2is92jx.jpg-600x360_.png
간질환
간은 손상되거나 질병에 걸려도 통증 및 전조증상을 느끼기 어려워 
침묵의 장기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치료 시기를 놓치기 쉽기 때문에 평소에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조기 진단 및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간질환이 심해진 경우 피로감, 통증, 황달, 부종, 복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간염, 간경변증, 간암 등 치명적인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표 질환
간염
바이러스, 알코올, 약제, 자기면역 등의 원인에 의한 간실질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합니다. 
바이러스성 간염, 알코올성 간염, 독성 간염, 자가면역성 간염, 대사성 
간염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간기능이 저하되면 권태감, 피로감, 유독물질 축적에 의한 식욕 저하, 
구토 등의 소화기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간암
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간세포에서 기원하는 악성 종양을 말합니다. 
오른쪽 윗배에 덩어리가 만져질 수 있으며 황달, 식욕부진, 체중감소가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별다른 증상 없이 우연히, 혹은 정기검사에 의해 
발견됩니다. 

간경변증

말랑말랑했던 간이 돌덩이와 같은 딱딱한 간으로 변화되어 원래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질병입니다. 
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발견이 어렵고 심하게 손상된 이후에서야 황달, 복수, 간성뇌증, 정맥류 출혈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지방간
지방간은 간내 과도한 지방이 쌓여서 발생되는데 일반적으로 간 무게의 
5% 이상의 지방이 쌓이게 되면 지방간으로 진단합니다. 
증상은 거의 없는 편이며 간혹 우상복부 불편감이나 약간의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상호명 : 위플러스내과의원       |    대표​자 : 민경선              |   사업자등록번호 : 376-94-01661
대표전화 : 02.995.1119         |    팩스 : 02.996.1119     |   주소 : 서울 도봉구 도봉로575 삼환프라자4층